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 성과보고 및 컨퍼런스 개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단장 이은석)은 10월 31일(금) 인천 라마다 송도호텔에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 2025년 사업 성과보고&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단 이은석 교수팀이 주도해 진행했으며, 가천대학교 교내 관계자와 정부 및 지자체, 공동연구기관, 병원, 산업체, 외부 대학, 그리고 스마트홈 서비스 사용자 등 총 16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지능형 홈케어 기술의 발전 방향과 서비스 실증 확산을 위한 협력 방안을 함께 논의하며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또한 가천대학교 메디
![]() |
||
| 사진=부산 아쿠아리움 | ||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는 1년 7개월간 보호해오던 상괭이 2마리를 23일 오후 2시 통영 앞바다에서 방류했다고 밝혔다.
고래연구소는 2011년 12월 통영 앞바다의 정치망에 들어와 탈진해 있던 상괭이 두 마리를 구조해 해양동물 전문구조 치료기관인 부산아쿠아리움과 함께 보호해 왔다.
구조 당시 탈진해 목숨이 위태로웠던 누리와 마루는 집중 치료를 받은 결과 건강을 회복했으며, 지난해 2월 일반인에게 공개돼 많은 관심과 사랑을 받아왔다. 또 상괭이의 생리·생태학적 연구에도 도움이 됐다. 방류를 결정한 것은 사육 기간이 장기화되면 야생 적응이 어려울 것으로 고래연구소와 부산아쿠아리움이 판단했기 때문이다. 상괭이 2마리는 지난달부터 통영 앞바다의 가두리에서 야생적응훈련을 하고 있었다.
상괭이(Neophocaena asiaeorientalis)는 쇠돌고래과에 속하는 소형 돌고래류로 등지느러미가 없고 등을 따라 긴 융기가 있다. 머리는 둥글며, 몸 색깔은 태어났을 때는 검은색이지만 성장하면서 점점 밝아져 회색을 띤다.
우리나라 남서해 연안에 약 3만6000마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전 세계에 서식하는 개체수가 정확히 파악되지 않아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과 국제자연보호연맹(IUCN)에 의해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돼 있다.
상괭이 방류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상괭이 방류, 토종 돌고래도 있었구나” “상괭이 방류, 큰 데로 가서 잘 살았으면” “상괭이 방류, 귀엽게 생겼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정약전이 자산어보에서 "남해의 인어 상광어"라 소개한데서 이름이 유래된 상괭이는 등지느러미가 없고 선한 사람을 닮은 해맑은 미소가 특징이다.
1년 7개월 만에 바다로 돌아간 녀석들은 몸에 부착된 위성추적장치 등으로 앞으로 우리나라 상괭이 분포와 이동경로 연구에도 도움을 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