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어린이에게 더 좋은 반려동물
  • 편집부
  • 등록 2013-07-29 09:07:15
  • 수정 2013-07-31 13:23:16
기사수정

                                                                                       김옥진(D.V.M., Ph.D.)
                                                                                      원광대학교 애완동식물학과 교수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 회장

 

반려동물은 어린이들이 자기통제를 발달하도록 도울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은 자신을 돌봐주는 주인들에 대한 무조건적인 애정과 충성심을 보여주고, 출산 후 애정 어린 강아지 돌보기 등의 다양한 간접 경험을 어린이에 제공해줄 수 있습니다.
 

어린이들은 자신의 반려동물과 어른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특별한 교감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어린 시절 반려동물을 길러 본 어린이들은 사자나 돼지, 닭이나 뱀과 같은 다른 동물들에 덜 부정적인 태도를 갖게 된다는 사실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다른 연구결과들 중 재미있는 결과로 어린 시절 반려동물을 기른 경험을 가진 경우에 어른이 되었을 때 보다 더 인본적 태도와 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반려동물은 어린이에게 교육 및 정신적으로 도움을 주는 역할을 다양하게 할 수 있습니다. 많은 연구결과들에서 반려동물은 어린이들의 정서지원, 태도조정, 사회화 형성, 신체보조, 의욕고취, 훈련, 교육과 동기부여 등을 통하여 어린이에게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사춘기 시기의 아이들에게 반려동물은 가족의 사랑을 대체할 수 있는 정신적 사랑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어린이들은 쉽게 그들의 감정을 반려동물에 자연스럽게 털어놓는 경향이 있습니다. 미국의 소아과 정신과 의사인 보리스 레빈슨 박사는 대인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감정장애를 가진 어린이들이 반려동물과 쉽게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습니다. 반려동물은 어린이에게 비위협적이고,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시키며, 무조건적인 집중과 사랑을 베풀어 줄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어린이들은 사람 보다 반려동물에 더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고 합니다. 어린이와 동물의 이러한 독특한 관계는 어린이가 동물의 중재를 통하여 대인관계 형성 능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방법을 동물매개치료(animal assisted therapy)라고 합니다.
 

다양한 연령에서 반려동물의 이점이 보고되고 있으나 그 중 어린이들에서 그 효과가 더 높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입니다. 이러한 이유로는 인간과 동물의 유대(human animal bond)가 다른 연령 보다 어린이들에서 더 강하게 형성이 된다는 점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어린이들은 그들의 반려동물을 친구로, 동료로 여기는 경향이 강합니다. 어린이들은 자신의 비밀을 그들의 반려동물에게 이야기하고 함께 즐거운 놀이를 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어린이들은 사회성 향상과 교육 및 정서적 이점들을 얻을 수 있습니다.
 

최근의 연구결과들에 의하면 반려동물을 키우는 아이들이 그렇지 않은 아이들 보다 사회성이 강하며,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신체적으로도 면역기능이 높다라는 것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어린이들에게 반려동물은 함께 성장하는 친구이자 동료로서 계산할 수 없는 많은 이점들을 제공합니다.

0
마이펫뉴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