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미국의 유일한 라이벌인 중국과, 더 넓게는 한국, 일본, 대만, 싱가포르, 홍콩 등 세계 인구의 사분의 일 이상을 차지하는 동아시아 16억 인구를 관찰하여 제대로 이해하고자 쓰인 책이다. 저자 마이클 슈먼은 '타임'과 '월스트리트저널'의 특파원으로서 20년 가까이 동아시아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책의 1부에서는 기원전 500년에 공자가 노나라의 관리로서 공을 세웠던 순간부터 1966년 중국의 홍위병에 의해 묘가 파헤쳐지고 관이 쪼개진 날까지 무려 2,500년간의 이야기가 속도감 있게 전개된다. 변변치 못한 집안에서 태어나 늘 높은 관직에 진출하기를 염원하였으나 번번이 실패한 채 생을 마감한 공자는 죽은 후에야 현자로, 그리고 죽은 지 500년만인 후한 시대에 이르러 마침내 '무관의 제왕'으로까지 불리게 된다.
그러나 1800년대에 일본과 서양 세력에 의해 청이 몰락한 후 1949년에 세워진 마오쩌둥의 중화인민공화국은 공자를 '봉건주의의 상징'으로 규정하고 새로운 공산주의의 시대로 나아가기 위해 공자상의 머리를 잘라 수많은 고서와 함께 장작불 속에 내던지기에 이른다.
20세기 후반부터 공자의 유산이 현대사회에서 갖는 의미와 역할에 대해 다시금 논란이 일게 되었다. 2부는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세 가지, 즉 가부장적 가족제도와 비정상적인 교육열, 그리고 근래 한국에서 더욱 논쟁적인 여성혐오에 대해 그의 공과 책임을 따져 묻는다.
3부는 여러 현대적 논란에도 불구하고 유교문화가 동아시아 경제발전의 원동력이 되고, 정치적 차원에서도 예상과 달리 결과적으로 민주주의 국가로 가는 또 다른 길을 열어 주었다고 주장한다. 공자가 살아있다면 민주주의를 지지했을지 독재주의를 지지했을지에 대한 지은이 나름의 분석이 흥미롭다. 또한 공자를 끌어내리려 했던 50년 전 중국 공산당과 반대로 현재의 공산당이 공자의 사당 앞에서 줄줄이 큰절을 올리는 속내에 대한 분석도 곁들여진다.
지은이는 처음부터 끝까지 미화되거나 왜곡되지 않은 진짜 공자를 찾아 나서는 데 집중한다. 저널리스트로서의 깊고 건전한 호기심으로 동아시아 곳곳을 취재하고, 동양사 전공자로서의 강한 연구자적 기질을 발휘하여 수많은 고전 문헌과 역사서를 참고하고 인용한다. 2,500년에 이르는 유구한 세월 속에 수없이 등장하는 공자의 흔적에, 때론 역사적 지식과 연계하여 때론 보편적 인간성에 근거하여 여러 가능성을 열어 놓고 편견 없이 다가선다.
오랜 연구 끝에 지은이가 공자에 대해 갖게 된 생각은 매우 호의적이다. 공자는 그의 명성을 오용해 온 치졸한 권력자들과 달리, 인류애를 바탕으로 사심 없이 평화로운 세상을 이루고자 노력했던 사람이다. 따라서 지은이는 현대에도 공자가 있는 세상이 없는 세상보다 낫다고 단언한다. 다만 성경과 코란을 비롯한 모든 교리와 믿음에는 현대사회에 더 이상 어울리지 않는 사상과 관습이 존재하기 마련인바, 유교 역시 현대에 맞게 재해석하여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역설한다.
마이클 슈먼 지음 | 김태성 옮김 | 지식의날개 | 392쪽 | 1만 8,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