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다음에 밥 한 번 하자.” 한국의 직장인들이 가장 자주 하는 빈말 1위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종종 문제 해결을 막연한 미래로 미룬다. 많이 사용하면서 듣기 싫어하는 인사가 ‘내일 보자’인 까닭도, ‘오늘까지만 놀고 내일부터 공부해야지’라는 다짐이 허무하게 느껴지는 까닭도 모두 이 막연함 때문이다.
그러나 이처럼 근거 없는 약속 안에 인류를 이끈 위대한 힘이 숨어 있다고 하면 어떨까? 오래전 호모 사피엔스는 멸종 위기에 처했으나 5만여 년에 걸쳐 결국 지구라는 생태계의 정점에 서게 됐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다니엘 S. 밀로는 우리 선조들이 도구나 불, 언어보다 훨씬 혁명적인 것을 발명했다고 주장한다. 바로 ‘내일’이다.
“왜 5만 8,000년 전 인류는 갑자기 아프리카를 떠났을까?” 지구상의 모든 동물 가운데 오직 인간만이 소말리아 반도라는 비옥한 환경을 떠나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북극까지 지구 전역으로 퍼졌다. 이에 대해 어떠한 생태학적 이유를 추정할 만한 근거는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다. 이들은 말 그대로 ‘별다른 이유 없이’ 지금까지와는 다른 곳에서 자신의 미래를 찾으려고 한 것이다.
저자는 바로 이 지점에서 동물과 구분되는 인간만의 특징을 찾는다. 호모 사피엔스는 어느 날 문득 ‘내일’이라는 개념을 떠올렸다. 그리고 내일에 대한 막연한 기대와 두려움으로 ‘오늘만 사는 동물’의 낙원에서 추방당했으며(창세기), 돌연 아프리카를 떠나게 됐다(출애굽).
인간만이 지구상의 동물들 가운데 유일하게 아직 존재하지 않는 미래를 위해 이미 존재하는 현재를 기꺼이 포기한다. 보나 나은 내일을 위해 오늘의 즐거움을 유보한 채 땀을 흘리며, 반대로 다가오지 않은 내일을 두려워해 일찌감치 미래를 포기한 채 오늘을 즐기기도 한다(카르페 디엠). ‘내일’의 발명, 그것이 저자가 꼽은 인류가 아프리카를 떠난 원인이자 지구 생태계의 정점에 선 힘의 근원이다.
동시에 인류는 내일이라는 상상을 발명한 이후 불확실한 미래를 염두에 두느라 만성적인 불안과 공포에 시달려야 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준비’와 ‘계획’이라는 개념을 떠올렸다. 그리고 미래를 대비하는 과정에서 축적과 잉여가 탄생했고, 이윽고 ‘과잉’의 소용돌이라는 현세의 지옥에 빠지게 됐다.
인류의 역사를 거칠게 요약하자면 미래에 대한 기대로 광야를 40년간 헤맨 모세의 탈출기와 미래에 대한 두려움으로 자식들을 잡아먹은 크로노스 사이의 어디쯤 있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이 오늘을 사는 까닭은 미래의 기대에 취했거나, 또는 미래에 대한 불안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다.
저자가 한국어판 서문에서 밝혔듯 특히 한국인들은 미래에 중독됐다. 그래서 지금 한국사회에서는 ‘행복하게 살기 위해 미래를 포기하자’는 이야기마저 나오고 있다. 내일을 전제로 하는 사회제도인 결혼, 출산, 노후대비에 대한 기대를 놓기만 하면 오늘이 편안해진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근거 없는 기대와 불안의 과잉에서 벗어나는 방법은 내일이 발명되기 이전으로의 회귀일까?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내일은 없다는 생각으로 오늘에 만족하는 존재는 짐승이거나 해탈한 부처다. 그러니 우리는 내일에 사로잡혀 더 많이 불안해하고 초조한 채 더욱 과잉을 추구함으로써 더 깊은 번뇌의 지옥에 빠질 수밖에 없다. 과잉이야말로 인간다움이다.”
다니엘 S. 밀로 지음/ 양영란 옮김/ 추수밭/ 324쪽/ 1만6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