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신간 '생각의 기원'(이데아 펴냄)은 인간의 독특한 능력인 '생각'이 어떻게 생겨났고 진화해 왔는지를 탐구한 책이다.
미국의 영장류학자 마이클 토마셀로 독일 막스 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 공동소장은 '사회성과 협력'에 초점을 맞춰 호모 사피엔스의 '생각의 진화사'를 추적한다.
인간과 대형 유인원의 공통 조상들은 깨어있는 시간 대부분을 작은 무리에서 생활했다. 이들은 대체로 경쟁적이었고 개별적으로 먹이를 구했다. 이들의 생각은 개인적인 수준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었다. 저자는 이를 '개인 지향성' 개념으로 설명한다.
인간의 생각은 40만 년 전쯤 '초기 인류' 시대에 한 차례 변화를 겪으며 비로소 유인원의 생각과 차별화되기 시작했다.
수렵에서 좋은 식량을 많이 얻으려면 좋은 파트너가 필요해진 만큼 타인을 평가하기 시작했다. 저자의 표현에 따르면 "다른 사람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지, 다른 사람이 자신을 어떻게 평가할지 걱정하기 시작한 것"이다. '개인 지향성'에서 '공동 지향성' 사고를 하게 된 것이다.
언어가 등장하면서 객관적인 사고가 가능해졌고 공동 결정을 내리기 위해 논쟁하는 과정에서 합리적이고 성찰적인 추론이 이뤄졌다. 또 집단의 생각과 일치하도록 자기 생각을 관찰하고 조정하게 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인간의 사고는 '개인 지향성'에서 '공동 지향성'을 지나 '집단 지향성'의 단계로 진화했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마이클 토마셀로 지음/ 이정원 옮김/ 264쪽 1만7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