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우리 몸의 염색체에는 유전자 DNA가 있다. DNA는 마치 두 가닥 실을 꼬아놓은 모양이다. 세포가 분열하려면 DNA가 복제돼야 하는데, DNA 복제효소는 한 가닥씩 복제해 다시 두 가닥을 만들어 낼 때마다 염색체 말단이 짧아진다. 두 가닥 실을 묶었다가 매듭을 잘라내 다시 두 가닥을 만들 때마다 길이가 짧아지는 것을 상상하면 된다. 텔로미어는 세포 분열을 할 때 유전정보의 소실을 막고자 유전자 DNA 말단에 붙어 있는 염기 '아데닌(A), 구아닌(G), 시토신(C), 티민(T)' 가닥을 말한다. 유전 정보를 담지 않은 이 염기 서열은 DNA 말단에 수천 개가 반복돼 있으며 DNA가 복제될 때마다 잘려나갈 뻔한 유전자 DNA를 대신해 떨어져 나간다.
텔로미어는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짧아진다. 결국, 나이가 들수록 그 길이가 짧아진다는 얘기다. 텔로미어의 길이가 어느 정도 줄어들면 세포는 분열을 멈춘다. 건강한 세포가 더 만들어지지 않는 것도, 우리 몸에 노화가 시작되는 것도 이때부터다. 텔로미어가 짧을수록 더 일찍 사망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즉, 텔로미어의 마모는 노화와 수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렇다면, 텔로미어는 짧아지기만 하는 걸까. 과학계는 염색체 DNA는 기존 DNA로부터 생화학적으로 복사되어야만 만들어진다고 여겼다. 하지만, 어떤 생물은 전에 없던 곳에서 DNA를 만들어냈다. 원생동물의 하나인 테트라히메나에서 세포분열 때마다 짧아진 텔로미어 끝에 DNA를 덧붙여서 원상 복원하는 효소, 즉 텔로머라아제(telomerase)를 찾아낸 것. 불행히도 인간에게는 계속 텔로미어를 늘릴 수 있는 텔로머라아제가 충분하지 않다. 수명을 연장하거나, 노화를 지연시키기는 어렵다는 얘기다.
'웃으면 복이 온다' '스트레스는 수명을 단축시킨다'는 조언은 지겹다. 책은 텔로미어를 짧아지게 하는 상황과 텔로미어를 보호하는 습관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스트레스는 건강의 적이다. 저자들은 잘 알려진 '명제'를 연구로 증명한다. 스트레스 상황에 맞닥뜨렸을 때 이를 두려워하고, 위협으로 인식하는 사람은 긍정적인 결과를 낼 것이란 기대로 자신 있게 대처하는 사람보다 텔로미어 길이가 짧다고 한다.
운동과 건강한 식습관, 적절한 수면도 텔로미어의 활성과 관련이 있다. 운동은 체내 항산화 물질을 늘려 세포가 손상되는 것을 막는다. 일주일에 3번, 45분씩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만으로도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는 설명도 곁들인다. 잠을 충분히 자면 배가 덜 고프고, 감정 기복이 덜하며, 텔로미어 소실도 줄어든다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최소 7시간 수면을 권한다. 섬유질이 많은 채소와 과일, 견과류, 해조류로 짜인 식단과 오메가3가 풍부한 연어`다랑어를 추천한다. 가공육과 붉은 살코기, 흰 빵과 당을 첨가한 음료 등은 당연히 적(敵)이다.
엘리자베스 블랙번`엘리사 에펠 지음/ 이한음 옮김/ 알에이치코리아/ 460쪽/ 1만7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