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 작은 책방 주인들은 어려움 속에서도 자신만의 색깔을 지키며 나름대로 행복하게 책방을 꾸려가는 모습이다. 그 중의 몇몇은 그런 이야기를 책으로 내기도 했다.
최근 출간된 '굶어 죽지 않으면 다행인 이후북스 책방일기'(알마)는 신촌 창전동에서 독립서점 '이후북스'를 운영하는 '황부농'(필명) 씨의 책방일기다.
이후북스는 2016년 3월 문을 열어 2년을 넘기며 동네서점으로 자리를 잡았다. 저자는 책방을 열 때부터 매주 한두 편씩 쓴 책방일기를 모아 이번에 책으로 냈다.
그는 책방을 운영하며 느낀 점들을 솔직하게 들려준다. 그 진실한 이야기는 책방 운영에 관해 일반적으로 품는 판타지를 깨는 측면이 크지만, 동시에 그 의미와 가치를 다시 진지하게 생각해보게끔 하기도 한다. 저자는 머리말에 이렇게 썼다.
"'작은 책방'은 자본주의 시스템 안에서 평가하자면 거의 무가치한 공간이다. 수익 구조가 지독할 정도로 열악하다. 먹고사는 데 있어서 거의 절망적이라고 말해도 과장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년 넘게 유지할 수 있었던 건 책방에는 자본의 가치를 뛰어넘는 것들이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사람, 이야기, 재미, 응원, 연대, 자유, 성찰, 고민거리 같은 것이다."
많은 이가 궁금해하는 '먹고 사는' 문제에 관해 저자는 냉정하게 말한다. 처음 3개월간 "남은 돈은 아이들에게 용돈을 쥐여줄 정도의 금액뿐"이라고. 저자는 책방 손님을 늘리기 위해 독서모임, '고양이 덕후' 모임, 영어스터디, 글쓰기 수업 등 다양한 행사를 기획한다. 당연히 품이 많이 드는 일이다.
잡무도 많다. 청소, 책 먼지 닦기, 음료 제조·판매, 주문도서 배송, 신간 입고, 손님 응대, 서점 홍보 등을 이어가다 보면 남는 시간이 없다. 책 읽을 시간이 생각보다 많지 않다.
저자가 무엇보다 강조하는 것은 역시 '책을 읽자'는 것이다. 책방을 '이후북스'라고 지은 것도 "책을 읽은 '이후'에는 조금 세상을 다르게 보라"는 뜻에서다.
황부농 글/ 서귤 그림/ 알마/ 1만2,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