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국내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인구 중 사육지식을 습득하지 않고 입양을 한 경우가 전체의 24%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4명 중 1명은 사전에 준비나 교육 없이 반려동물을 입양하고 있는 것이다. 또, 이들 응답자들 중 반려동물을 기르다 이들을 유기해야겠다는 충동을 느낀 적 있다고 응답한 경우도 42.6%로 절반에 가까웠다.
우리나라에도 유기 및 학대를 방지하기 위해 반려동물등록제를 실시하고 있지만, 서울연구원의 발표의 따르면 2016년까지 반려견 등록률은 절반을 밑돌고 있다. 미등록 사유로는 “등록방법 및 절차가 복잡해서”가 51.4%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는 “필요성을 못 느껴서”가 31.8%, “등록 제도를 알지 못해서”가 12.1%로 뒤를 이었다.
이혜원 건국대 동물복지연구소 박사는 먼저 입양 전 반려인 교육이 유기와 학대를 줄이는데 확실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박사는 “개에 대한 기본적인 습성, 본성 등을 이해하고 키우면 개들이 문제 행동을 했을 때 왜 그렇게 행동을 하는지 기본적인 이해는 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이 박사는 “개나 동물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많다고 해서 유기 행동을 안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기초적인 사전 교육과 함께 동물을 생명으로 존중하는 인식이 사회 전반적으로 공유되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 박사는 “어렸을 때부터 생명 존중을 가르친다면 지금처럼 유기나 학대가 많이 일어나지는 않을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이어 이 박사는 “우리나라는 사실상 처벌이 너무 약한 상황”이라며 “처벌을 강화하는 등 유기 행동을 줄이기 위한 장치가 확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또 “우리나라는 동물을 너무 쉽게 입양할 수 있기 때문에 충동적으로 이뤄지다보니 쉽게 버리는 행동 또한 가능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이 박사는 “돈만 있으면 생명을 쉽게 살 수 있다는 생각 때문에 생명에 대한 책임감이 부족한 것 같다”라고 안타까움을 표명했다. 또 “동물을 키우기 전에는 동물이 죽기 전까지 책임을 질 것이라는 다짐이 확실한 채로 동물을 입양해야 한다”라고 입양을 고민 중인 반려인들에게 조언했다.
서울시 등 일부 지방자치단체들은 반려인들을 위한 입양 전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기도 한다. 서울시가 지난 2017년 개설한 서울동물복지지원센터에서는 매주 토요일 오후 2시에 '동물권행동 카라'에 위탁해 반려동물 입양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시는 미취학아동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도 ‘찾아가는 동물보호교육’을 실시하는 등 입양 교육 대상을 더욱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동물 정책을 마련하는데 시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 동물정책청년넷, 동물보호시민봉사단 역시 확대할 계획이다.
또 유기동물의 응급 치료를 위해 ‘유기동물 응급구조기관’을 지정(올해 서울대 수의과대학)해 24시간 운영으로 유기 동물들의 생존력을 높일 예정이다. 3월말부터는 서울시동물보호센터에서 유기견을 입양하면 입양인에게 동물보험 납입료를 1년간 지원해 유기동물 입양 역시 활성화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