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신탕 공급처’로 악명을 떨쳤던 부산 구포가축시장이 완전히 사라지게 됐다. 그 자리엔 반려견 놀이터와 동물복지시설 등이 들어서게 된다.
부산시는 1일 구포시장 폐업을 위한 협약식을 갖는다고 30일 밝혔다. 협약식 이후 이 시장 내 해당 업소들은 살아있는 동물을 도축하거나, 전시하지 않으며 10일 이내에 영업정리를 마무리하고 7월 11일 전원 폐업하게 된다. 개시장의 완전폐업은 전국 처음이다.
구포가축시장은 경기도 성남 모란시장, 대구 칠성시장과 함께 식용견을 판매하는 전국 3대 도매 ‘개시장’으로 손꼽히는 곳이다. 6·25전쟁 후 형성되기 시작해 한때 100여 곳의 업소가 성업해왔다. 그러나 반려견 문화가 일반화하기 시작하면서 동물보호단체와 동물복지활동가들의 항의와 집회가 끊이지 않았고, 지금은 19개 업소만 영업하고 있다.
협약식은 구포동 도시농업지원센터에서 오거돈 부산시장, 정명희 북구청장, 전재수 국회의원과 가축시장 상인 및 동물보호단체 회원 등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될 예정이다. 협약식 후 구조된 동물들을 동물보호소로 보내는 환송식이 이어진다.
구포가축시장의 폐쇄는 오 시장이 “반드시 이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게 계기가 됐다. 시 당국은 지난해 10월 상인 보상을 포함한 가축시장 정비방안을 마련하며 이번 합의안 마련에 성공했다.
합의안에 따르면 가축시장 부지(3724㎡)에는 반려견 놀이터와 동물복지시설이 조성되고 주차장, 주민쉼터 등이 건립된다. 폐업하는 점포에는 이전할 상가가 준공될 때까지 매월 313만원씩 생활안정자금이 지원되며, 준공 다음 달부터 10년 간 점포 임대료 대출 이자, 인테리어 비용 등 명목으로 월 30만원이 추가 지원된다. 새 상가에 입점한 기존 상인에게는 5년 단위로 임대차 계약을 갱신하는 조건으로 최대 20년까지 임대를 보장한다.
오 시장은 “민선7기 출범 후 오로지 생명중심, 민관협치의 원칙 속에 시민과 함께 노력한 쾌거”라며 “동물복지의 세계적 상징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동물자유연대 등 동물단체들은 공동 성명을 발표하고 “이번 폐쇄 합의를 환영하며 전국 개시장 폐쇄의 신호탄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모란시장의 경우 2016년 12월 성남시와 상인회 간 환경정비업무협약을 계기로 일부 점포의 업종전환이 이뤄졌지만, 여전히 개고기가 유통되는 실정이다. 대구 칠성시장도 시와 상인회 간 협의가 진행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진척이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