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네안데르탈인처럼 생겼다'라는 말은 최악의 외모 비하로 받아들여지는 일이 많겠지만, 적어도 생물학적으로는 그렇게 생긴 사람이 있다고 해서 이상한 일이 아닐지도 모른다. 우리 몸에 네안데르탈인의 DNA가 남아 있기 때문이다.
미국 하버드대 의학대학원 교수이며 고대 DNA 분석 전문가인 데이비드 라이크가 쓴 '믹스처'(동녘사이언스·원제 Who We Are and How We Got Here)는 인류의 오늘이 있기까지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는 종 내에서뿐만 아니라 네안데르탈인과 같은 구인류와도 교류하고 교잡해 왔음을 설명한다. 인간 게놈 전체의 해독을 비롯한 유전학 분야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저자와 같은 과학자들은 DNA가 남긴 인류의 발자취를 추적할 수 있게 됐고, 그 결과 우리가 알고 있던 많은 상식을 깨트리기에 이른다.
우리가 네안데르탈인의 DNA를 지니고 있다는 것도 그중 하나다. 현대 인류의 DNA를 분석한 방대한 자료와 네안데르탈인의 DNA 자료를 비교 분석한 결과 현대의 비(非)아프리카인 게놈 중 약 1.5~2.1%가 네안데르탈인에게서 유래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 저자가 주축이 된 연구팀이 4만5천년 전에 살았던 시베리아 현생인류 개체에서 추출한 고대 DNA를 방사성 탄소연대측정법으로 측정해 보니 네안데르탈인에게서 유래된 DNA가 현대 인류보다 7배나 더 많았다.
이를 통해 이 개체에 네안데르탈인의 DNA를 남기게 된 현생인류와 네안데르탈인의 교잡은 5만4천년 전에서 4만9천 년 전 사이로 시대 범위를 확정할 수 있었다. 이는 현생 인류가 아프리카와 중동에서 확산하기 시작한 5만 년 전부터 네안데르탈인이 사라진 3만9천 년 전 사이에 중동과 유럽 지역에서 현생 인류와 네안데르탈인이 공존했다는 고고학적 증거들과도 맞아떨어진다.
책은 이 밖에도 유럽과 인도에서 매우 다른 집단들이 각각 9천 년에 걸쳐 교잡하고 교류하며 현대 유럽인과 인도인을 형성하고 인도유럽어를 전파하게 되는 과정을 추적한다. 또 유럽인이 도착하기 전의 아메리카와 중국, 아프리카 등의 인류집단 형성 과정도 DNA 분석을 통해 보여준다. 저자는 이 모든 분석을 종합해 지난 세기에 등장한 정설, 즉 '인류 집단은 유전적으로 매우 가까워서 집단 사이에 실질적인 생물학적 차이라고 부를 만한 것이 없다'는 생각은 더는 지지받을 수 없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것과 대립하는 견해로서 오랫동안 지속해온 인종주의적 세계관은 유전학 데이터가 가르쳐주는 사실과 더더욱 충돌한다는 점도 지적한다.
인류 역사에서 집단의 교잡이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는 사실로부터 저자가 끌어낸 결론은 "우리가 모두 서로 연결돼 있으며 미래에도 계속해서 서로 연결돼 있을 것"이라는 사실이다. 그래서 그는 강조한다.
데이비드 라이크 저/ 김명주 역/ 동녘사이언스/ 432쪽/ 2만2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