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강아지-가방, 고양이-사료' 조합…빅데이터 분석
  • 이소영 기자
  • 등록 2020-04-16 07:15:12
  • 수정 2020-04-16 07:15:41
기사수정
   
 

지난 한해 국내 반려동물 관련 웹사이트 빅데이터 분석 결과 강아지는 가방, 고양이는 사료 키워드 조합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NHN ACE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온라인 펫코노미(펫+이코노미) 시장 인사이트 리포트를 14일 공개했다. NHN ACE는 데이터 관리플랫폼 ‘ACE DMP’를 활용해 업종별 PC·모바일 사이트 발생 데이터를 분석한 리포트를 발행하고 있다. 이번 리포트는 2019년 반려동물 용품 및 입양·분양 사이트 52곳의 페이지뷰(PV) 약 1억5000만건과 키워드 유입 데이터를 분석했다.

리포트에 따르면 강아지와 조합돼 유입된 키워드는 ‘가방’이 가장 많았고 간식 방석 옷 슬링백 등이 상위권에 올랐다. 고양이는 ‘사료’ 키워드 조합이 최다였으며 캣타워 간식 모래 화장실 등도 유입이 많았다. 외출이 잦은 반려견과 주로 실내생활을 하는 반려묘의 특징이 반영됐다.

반려동물 관련 사이트 유입은 1~2월에 적었지만 3월부터 증가해 8~9월 정점을 찍었다. 반려동물 용품 사이트는 평일에, 입양·분양 사이트는 주말에 찾는 이들이 많았다.

입양 시에는 중소형견과 단모묘 선호도가 높았다. 입양·분양 사이트 품종별 키워드 유입 결과를 보면 강아지는 푸들(18%) 포메라니안(17%) 비숑프리제(15%), 고양이는 먼치킨(20%) 뱅골 러시안블루(이상 14%) 스코티쉬폴드(13%) 순으로 집계됐다.

NHN ACE는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로 반려동물과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펫팸족(펫+패밀리)의 온라인 소비가 활발해졌다”며 “지난해 2분기부터 관련 사이트 유입이 증가한 데이터를 토대로 마케팅전략 변화를 고려해도 좋을 시점”이라고 말했다.

0
마이펫뉴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