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한국의 정체성에 대해 오랫동안 천착해온 철학자 탁석산이 이번에는 "한국적인 것은 없다"는 주장을 내놓았다.
그에 따르면 당대 사회 속에서 그때그때 존재하는 '한국적인 것'은 있지만 시대를 초월한 어떤 공통점은 없다. 모든 민족의 문화는 역사적 과정에서 뒤섞이며 발전하기 때문이다.
조선 시대 왕조 국가에서 충효와 군자, 종묘사직을 중요한 가치로 여겼다면 현대 한국은 개인의 행복과 자아실현을 중요하게 여긴다. 또 전통적으로 '한국적인 것'인 것이 알고 보면 인류 보편적인 현상인 경우가 많다.
저자는 심지어 "어떤 문화든 들어와 백 년 정도 지나면 그 나라 문화라고 해야 한다"며 "문화에는 국적이 없다"는 점을 강조한다.
다소 논쟁적인 이같은 주장을 하는 이유는 한국 사회 전반에 널리 퍼진 '국뽕'(과도한 애국주의)를 경계하기 위해서다.
작가는 우리가 지나치게 '한국적인 것', '고유한 것'에 집착한다며 이같은 태도를 버리자고 제안한다. 몇 개의 공통된 '한국적 DNA'를 찾으려 애쓰지 말고 다양하게 존재하는 문화의 유사성에 주목해 문화의 지평을 넓혀나가자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문화 수출보다 수입이 중요하다. K팝이 세계적인 인기를 누리는 것이 광고 때문이 아니듯이 매력 있는 문화의 수출은 저절로 이뤄진다. 여기에 도취돼 '우리의 것'만을 고집하며 높은 수준의 문화를 받아들이길 거부하면 '고인 물' 신세를 면할 수 없다는 것이 그의 경고다.
탁석산 저/ 열린책들/ 1만5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