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헤밍웨이의 '고양이'
  • 박서현 기자
  • 등록 2013-12-23 23:50:30
  • 수정 2013-12-23 23:51:15
기사수정

   
 
미국 키웨스트(key West)의 헤밍웨이 기념관에는 헤밍웨이가 키우던 고양이의 후손이 약 60여 마리가 살고 있다. 그 중 절반 이상이 다지증(polydacty)을 가지고 있다. 이런 다지증고양이를 ‘헤밍웨이 고양이’라고 부른다.

‘노인과 바다’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미국 소설가 어니스트 헤밍웨이(Ernest Miller Hemingway)는 고양이를 매우 좋아했다. 냉철하고 거친 문체로 유명하지만 고양이를 대할 때만큼은 한없이 부드러운 사람이었다.

그는 30여 마리의 고양이를 키우고 있었다. 헤밍웨이가 어느 날 선장으로 부터 고양이를 한 마리 선물 받았다. 그 고양이가 발가락이 많은 다지증 고양이 ‘스노우볼’이다. 헤밍웨이는 이 고양이를 너무 좋아해서 플로리다 키웨스트의 집 마당을 개조해 고양이가 자유롭게 뛰어 놀 수 있게 했다. 현제 헤밍웨이의 고양이 후손들은 키웨스트의 헤밍웨이 기념관에 그대로 남아서 60여 마리 정도가 가족을 이루며 살고 있다. 정기적으로 수의사의 진료를 받으며 관리되고 있다. 일반 방문객이 접근 할 수 없는 헤밍웨이 침대에서도 낮잠을 즐기는 특권까지 누리고 있다. 그 고양이 중 절반 이상이 다지증고양이다. 이처럼 헤밍웨이가 생전에 좋아한 다지증고양이를 ‘헤밍웨이 고양이’라고 부른다.

다지증은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정상보다 많은 경우를 의미하는데 사람이나 고양이에게 있을 수 있는 기형이다. 보통 고양이는 앞발이 각5개, 뒷발에 각 4개 총 18개의 발가락을 가지고 있다. ‘헤밍웨이 고양이’는 발가락이 20개 이상인 다지증 고양이다. 일반적으로 앞발에 다지증이 많다. 앞발이 마치 벙어리장갑을 끼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다지증은 생명이나 성장에는 지장이 없다. 다지증 고양이 중 일부는 걸음걸이가 늦는 경우가 있지만 정상 고양이와 똑같이 생활할 수 있다. 다지증 고양이 중 일부는 사람의 손처럼 물건을 잡거나 돌리는 등 정상 고양이 보다 많은 발가락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처럼 발가락이 많은 고양이는 보통의 고양이 보다 사냥능력이 좋기 때문에 선원들이 이런 능력을 높이 평가해 항해에 나갈 때 데리고 나갔었다. 특히 신대륙 이후 미국으로 가는 선원들은 행운을 가져다 주는 고양이라고 믿었다. 때문에 다른 지역보다 미국 뉴잉글랜드지역에 다지증 고양이가 많은 편이다.

다지증은 우성유전 기질을 보이기 때문에 부모 중 어느 한쪽만 이런 형질을 가져도 자손들에게 유전된다. 기네스 북에 의하면 지금까지 발견된 다지증 고양이중 가장 발가락이 많은 고양이는 28개라고 한다. 다지증 고양이는 ‘벙어리장갑고양이’ ‘엄지고양이’라는 별명도 있지만 가장 유명한 애칭은 ‘헤밍웨이 고양이’이다

0
마이펫뉴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