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청춘은 최고의 시절, 중년은 위기의 시간, 노년은 슬픔과 상실의 시대라는 고정관념이 있다. 인간의 발달은 성장-절정-위기-쇠락으로 이어지는 ∩자형 모양을 취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미국 브루킹스연구소 수석연구원 겸 언론인인 조너선 라우시는 <인생은 왜 50부터 반등하는가>에서 이 같은 통념이 틀렸다고 말한다. 그는 “인생 만족도가 40대에 최저점을 찍고 나이가 들수록, 특히 50대 이후부터 반등하는 U자 모양 행복 곡선이 우리 유전자에 새겨져 있다”고 주장한다.
저자는 나이에 따른 행복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최근 20년 사이 이뤄진 뇌과학, 심리학, 경제학 등의 연구 성과를 살피고 관련 전문가들을 만나 대화를 나눴다. 또 약 300명의 성인을 만나 인터뷰하거나 설문조사를 한 후에 이런 결론에 도달했다고 밝힌다.
젊었을 때는 장밋빛 미래를 전망하기 때문에 인생 만족도의 기대치와 실제치 간 격차인 ‘예측 오차’가 크다. 예측 오차로 인한 실망이 인생에 대한 불만을 키우고, 그 불만이 또 실망으로 이어지는 ‘되먹임 효과’가 발생한다.
하지만 긍정적 결과만을 기대하는 ‘낙관 편향’이 40세를 절정으로 점점 줄어든다. 저자는 이처럼 좌절과 실패를 통해 자기 뜻대로 삶이 풀리지 않는다는 것을 체험한 후에 인간은 50세쯤 다시 도약한다고 해석한다.
깨달음을 얻은 후 찾아오는 노년은 새로운 기회의 시간이다. 저자는 “중년과 노년 사이에 길게는 20년에 이르는 새로운 인생 단계인 ‘앙코르 성인기’가 존재한다”고 말한다. “60~70대는 더 이상 짧게 끝나 버리거나 노쇠를 동반하는 죽음의 전주곡이 아니라, 예리한 인지력과 풍부한 경험과 숙련된 기술을 보유하고 살아가는 시기”라는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한다.
조너선 라우시 저/ 김고명 역/ 부키/ 432쪽/ 1만8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