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달 1일 치러지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반려인의 표심을 붙잡기 위한 공약이 봇물이 터지고 있다.
최근 각 후보 진영에 따르면 반려동물 테마파크와 놀이터 조성, 반려동물 화장장과 추모 시설 건립, 양육·의료비 지원 등의 공약을 내놓고 '펫심 구애'에 공을 들이고 있다.
A 광역단체장 후보는 유기동물 입양장려금(10만원)과 예방접종·중성화 수술 할인 바우처 제공을 공약으로 내걸어 반려인의 표심 잡기에 나섰다.
B 광역단체장 후보는 반려동물의 휴식·놀이시설과 반려견 학교 등을 갖춘 종합테마파크 조성을 약속했고, 또 다른 광역단체장 후보는 전용 화장장과 추모공원 조성을 공약으로 내놨다.
수도권의 한 광역단체에서는 여야 후보가 동물 분야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격인 '수의법의학 센터' 설치와 '직영 동물보호·입양센터' 확충 등을 경쟁적으로 내걸었다.
반려동물 복지 증진과 펫산업 유치 공약도 눈에 띈다.
한 기초단체장 후보는 반려동물 직업전문학교·창업지원센터를 유치해 '세계 명견 테마랜드'를 조성하겠다고 공언했다.
또 다른 후보는 특별사법경찰관인 동물보호 감시원을 활용해 길고양이 구조 및 학대 단속에 나서겠다는 약속도 했다.
이 밖에 반려동물 보건소·공공진료소 운영, 반려동물 바이오 신약연구소 유치, 펫산업 클러스터 구축, 전국 최대 펫 공원 조성과 국내 최초의 반려동물 엑스포 개최 등도 공약으로 나왔다.
그러나 일부 반려인들은 이러한 공약들이 실효성이 떨어지거나 선거용에 그칠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한다.
유권자 강모(27) 씨는 "반려동물에 대한 후보들의 관심은 반갑지만, 공약만 있을 뿐 구체적 실현계획이나 예산 대책 등은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박모(43) 씨도 "반려인과 비반려인의 인식이나 입장차를 고려하지 않고 표부터 얻자는 식의 공약 남발이 아닌지 우려스럽다"며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실현하기 어렵거나 충분한 사회적 논의를 필요로하는 공약도 눈에 띈다"고 꼬집었다.
동물자유연대 조희경 대표는 "길고양이 학대 단속, 유기동물 보호센터 확충과 같은 공약들은 과거 선거 때도 선언적으로 나왔던 내용"이라며 "이 같은 공약은 의지를 갖추고 실행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를 위해선 지방자치단체마다 동물복지 업무를 전담하는 부서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