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개 후각의 진실
  • 박서현 기자
  • 등록 2015-02-12 18:48:46
기사수정

개에게 발달되어 있는 특별한 능력 중에서 냄새를 맡는 후각 능력이 가장 뛰어난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사람이 감각 중 70%를 시각에 의지하는 반면 개는 50%이상을 후각에 의지한다. 개의 후각이 발달 할 수 있었던 원인은 야생 생활 습관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축된다.

개의 조상이 야생에서 생활하고 있었을 때부터 냄새를 통해 사냥감을 멀리서부터 쫓아 막다른 곳으로 몰아넣거나 무리의 뒤를 따라가는 등 필요에 의해 발달된 능력이다. 또 어두운 곳에서 사냥을 할 때에는 시각보다는 후각에 의지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개는 뛰어난 후각을 이용해 주위를 탐색한다. 경찰견이나 마약 탐지견의 생활에서 보듯이 개가 대단한 후각을 가지고 있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이처럼 개는 후각으로 사람들이 상상하는 그 이상의 능력을 발휘하는데 개의 후각 능력이 어디까지인지 알아보자.

인간이 약 500만개의 후각 세포를 가지고 있는 것에 비해 개는 약 2억~30억개의 후각세포를 가지고 있어 사람의 약 44배에 달한다. 개의 후각은 사람의 약 1000~1억 배 정도 더 뛰어나다. 코 속 깊은 곳에서 냄새를 감지하는 후상피의 표면적은 견종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만 사람의 약 50~60배이다.

또 개의 코가 항상 촉촉하게 젖어 있는 것도 냄새 입자를 쉽게 포착하여 냄새를 보다 더 잘 맡기 위해서 이다. 이는 비강선에 의해 생성되는 분비액으로 공기 중의 냄새입자를 용해시켜 후각능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비글, 블러드 하운드, 바셋 하운드 등은 코의 습도가 높아 후각이 매우 발달한 품종이다.

개는 특별하게 입에서도 냄새를 맡을 수 있다. 개의 입천장에는 사람에게 없는 제이콥슨 기관(jacopson's organ)이라는 특별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입속에서도 냄새를 맡을 수 있다. 코로 숨을 쉴 때마다 개의 입천장 작은 도관을 통해 후각세포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증대시켜, 냄새 입자를 입속에서도 맡을 수 있다.

게다가 개의 후각을 이용해 암세포의 존재 여부를 식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영국의 한 연구 기관에서 방광암 환자와 일반인의 오줌 샘플을 이용해 실험한 결과, 41%의 확률로 암 환자의 오줌 샘플을 식별할 수 있었다. 또 키우던 반려견이 이전부터 보호자의 몸 한 부분에만 유독하게 집착하며 냄새를 맡아 이런 반려견의 행동을 의아하게 생각한 보호자가 병원에서 진료를 받았다. 그 결과 반려견이 냄새를 맡던 부근에서 피부암이 진행 중이었고 보호자는 반려견 덕분에 암을 조기에 발견했다는 보고도 있다.

개의 후각은 견종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반경 1~2km에서부터 경우에 따라서는 10km이상 떨어진 곳에서 발정기를 맞이한 암컷의 냄새에도 반응을 보인다. 심지어 냄새의 방향까지 인식 가능하다. 산책 중에 다른 개와 만나면 개들은 서로 킁킁거리며 엉덩이부근의 항문선에서 나는 냄새로부터 나이와 성별 같은 정보를 모은다. 

개들의 뛰어난 후각은 필드에서 사냥감의 흔적을 찾거나, 적의 존재를 알아차리기 위해 필연적으로 발달한 능력이다. 그 결과로 보호자나 자신의 냄새를 확인함으로써 안정을 되찾고, 낯선 사람이나 동물의 냄새를 맡고 공포감을 느끼는 등 개들은 감정까지도 냄새에 영향을 받는다. 또, 개의 청각이나 시각은 태어나서 몇 주일이 지나야 제 기능을 할 수 있으며, 나이가 들면 그 능력이 많이 쇠퇴하게 되는데 비해, 후각은 태어난 순간부터 늙을 때까지 계속 그 높은 능력을 유지를 할 수 있다.

수많은 냄새 중에서도 개가 특히 민감하게 느끼는 것은 동물의 오줌이나 땀에 포함되어있는 지방산의 냄새이다. 산책을 하는 도중에 개가 전신주 등에 킁킁거리며 냄새를 맡고 그곳에 실례를 하는 일이 있다. 개가 거기에 남겨져 있는 다른 개의 냄새를 식별하고, 다른 개의 냄새가 남아 있는 장소에 자신의 채취를 마킹 하는 것이다. 개는 후각을 이용해 서로를 익힌다. 항문의 땀샘에는 아주 강한 체취가 나기 때문에 개는 만나면 상대의 엉덩이에 코를 박고 냄새를 맡는다. 이 행동은 사람의 악수인 셈이다. 다른 개가 자신의 냄새를 맡는 동안 가만히 있는 것이 개들의 예의이다. 이때 불편해 하거나 공격적인 태도를 보이는 개는 사회성이 부족한 것이다.

개에게 후각능력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개는 사람의 한계를 뛰어넘는 후각 능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사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 냄새의 방향, 성별 까지도 분별한다. 눈으로 세상을 보는 사람이 코로 세상을 읽는 개에게 의존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첨단과학이 발달한 현대에도 개들이 가지고 있는 능력을 따라 잡기엔 분명한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0
마이펫뉴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