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펫뉴스=김준동 ]
저출산과 고령화 등으로 인해 2060년 이후 보험시장이 축소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성장 가능성이 큰 반려동물 시장에 대한 보험업계의 적극적인 공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최근 보험연구원이 발표한 '미래환경 변화에 따른 보험수요 장기 추계' 보고서에 따르면 인구구조 변화와 경제 성장 둔화 등으로 보험수요가 2060년 이후 축소돼 2070년에는 2020년보다 줄어들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이에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의 필요성이 강조된 가운데, 특히 반려동물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점에 주목했다.
김경선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2060년 이후 보험시장이 축소한다는 추계 결과에 기초할 때 반려동물 보험시장 활성화를 수요확대 차원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반려동물에 대한 의료서비스 및 기술이 발전해 평균 수명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지만 보험 가입률은 미미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말했다.
KB금융그룹의 '2025 한국 반려동물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반려동물 양육 인구는 1546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29.9%를 차지한다. 10가구 가운데 3가구가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지만, 펫보험 가입률은 12.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펫보험 가입이 저조한 이유는 높은 보험료와 제한적인 보장 범위, 낮은 보장 금액 등이 꼽힌다. 펫보험 보험료는 견·묘종이나 나이에 따라 월 2만원에서 많게는 10만원까지도 책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월 금융당국이 병원의 과잉 진료를 막고 소비자의 허위 청구를 방지하기 위해 펫보험 상품을 전면 개편하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됐다.
평균 3~5년이던 기존 펫보험 재가입·갱신 주기를 1년으로 단축하고, 0~50% 사이였던 자기부담률을 최소 30%로 일괄 조정했다. 보험금 수령에 따른 보험료 할증 제도도 신설됐다.
연구원은 펫보험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동물병원마다 상이한 진료체계를 표준화하고, 진료기록부 발급을 의무화해야 한다는 제언했다. 또 청구전산화를 도입해 소비자의 보험금 청구 편의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연구위원은 "진료비 표준화 및 공시의 의무화가 이뤄지도록 제도를 정비하면, 진료비의 불투명성을 해소하고 보험사의 손해율을 예측해 합리적인 보험료 산출이 가능해진다"며 "보험사와 동물병원 간 제휴를 통해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저출산과 고령화로 보험 시장이 정체되는 상황에서 펫보험은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다"며 "다만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지 않으면 과거처럼 손해율 악화로 시장이 위축될 수 있어 정부와 함께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