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 성과보고 및 컨퍼런스 개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단장 이은석)은 10월 31일(금) 인천 라마다 송도호텔에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 2025년 사업 성과보고&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단 이은석 교수팀이 주도해 진행했으며, 가천대학교 교내 관계자와 정부 및 지자체, 공동연구기관, 병원, 산업체, 외부 대학, 그리고 스마트홈 서비스 사용자 등 총 16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지능형 홈케어 기술의 발전 방향과 서비스 실증 확산을 위한 협력 방안을 함께 논의하며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또한 가천대학교 메디
일반 의사들도 동물을 치료할 수 있을까.
일반적으로 사람은 의사에게, 동물은 수의사에게 치료를 맡기는 것이 당연하다.
하지만 다급한 상황이라면 수의사만큼은 아니라도 내과의사도 동물을 치료할 수는 있지 않을까. 미국 의과대학협회(AAMC)의 리카 마에시로 박사는 일반인들의 생각과 달리 그렇지 않다고 강조한다. 내과의사의 의학지식은 거의 인체에 대한 것이며, 동물은 잘 모른다는 이유에서다.
“찢어진 상처를 꿰매거나 부러진 다리에 부목을 대는 것 같은 단순한 처치라면 몰라도 아픈 동물을 치료하기는커녕 병명을 진단하는 것조차 어렵다고 봅니다.”
마에시로 박사는 내과의사가 어쩔 수 없이 병든 동물을 치료해야만 하는 상황에 처해졌다고 가정할 경우 치료의 성패는 크게 3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설명한다. 가장 핵심은 내과의사가 동물의 질병에 대해 알고 있는 지식의 수준이다. 말을 하지 못하는 동물들은 오직 의사의 능력으로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를 해야 하는 탓이다. 다만 정확히 진단을 했더라도 제대로 치료한다는 보장은 없다는 게 미국수의사협회(AVMA) 킴벌리 메이 박사의 전언이다.
“예컨대 사람에게 다리 골절은 큰 일이 아닐지 몰라도 말에게는 경각을 다투는 위급상황입니다. 동일한 질병도 인간과 동물에게 미치는 영향이 전혀 다를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요인은 동물이 어떤 질병에 걸렸는지이다. 출혈성 심부전 같이 전문성이 요구되는 질병이라면 치료는 사실상 기대하기 어렵다.
마지막으로 동물의 종류 또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개나 고양이, 돼지, 소 등의 포유류는 그나마 인간과 구조가 유사하지만 만일 환자가 뱀이나 독수리라면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할지 대략 난감해질 것이 자명하다.
“생명을 다투는 긴박한 상황이 아니면 의사는 동물을, 수의사는 사람을 치료하려 하지 않습니다. 이는 전문의들이 갖춰야할 예의이자 의무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