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 성과보고 및 컨퍼런스 개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단장 이은석)은 10월 31일(금) 인천 라마다 송도호텔에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 2025년 사업 성과보고&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단 이은석 교수팀이 주도해 진행했으며, 가천대학교 교내 관계자와 정부 및 지자체, 공동연구기관, 병원, 산업체, 외부 대학, 그리고 스마트홈 서비스 사용자 등 총 16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지능형 홈케어 기술의 발전 방향과 서비스 실증 확산을 위한 협력 방안을 함께 논의하며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또한 가천대학교 메디
고양이가 반려동물로 증가하면서 유기나 실종 우려도 높아졌음에도 반려동물등록제 의무 대상이 아니라 '애묘족(愛猫族)'들은 고양이를 잃어버리면 속수무책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려동물등록제는 유기를 방지하고 잃어버린 동물을 쉽게 찾고자 주인들이 각 자치구에 등록을 의무화한 제도로 올해 1월 1일 공식 시행됐다. 동물의 몸에 마이크로칩을 삽입하거나, 외장형 식별장치, 목줄형 인식표 등을 매다는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한다. 미등록시 과태료 40만 원을 부과한다. 그러나 등록 대상을 3개월령 이상인 개로만 한정하고 있다.
고양이를 반려동물로 맞이한 인구는 증가 추세에 있다. 2012년 농림축산검사본부 조사에 따르면 반려동물로 사육되는 고양이는 2006년 46만여 마리였지만, 2012년 115만여 마리로 늘어났다.
반면 반려동물로 길러지는 개는 같은기간 655만여 마리에서 439만여 마리로 줄어들었다. 반려동물 5마리 중 1마리는 고양이인 셈이다. 1인가구와 맞벌이가구가 증가하면서, 홀로 있어도 외로움을 덜 타고 청결한 동물이라는 인식 때문에 고양이 사육이 늘어나는 것으로 풀이된다.
고양이를 기르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유기된 고양이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유기동물 가운데 고양이의 비율은 30~40%대를 유지하고 있다. 동물보호운동가들은 고양이 실종신고가 늘어나고 있지만 습성상 주인을 찾아주기 어려워 반려동물등록제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전문가들은 "고양이는 습성상 주인이 부른다고 오지 않고 경계가 심해, 잃어버리면 길고양이가 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장기적으로 고양이를 등록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점은 인정한다면서도 예산과 효과를 면밀히 검토해 시행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농림축산검사본부 관계자는 "세계적으로 고양이를 등록제 대상에 포함한 국가가 거의 없다. 고양이 생태 연구와 정책 효과 분석이 보완된 뒤에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