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의 천국'으로 불리는 인도가 떠돌이 개로 골치를 앓고 있다. 인도 전역의 떠돌이 개가 3000만 마리로 불어나 사람이 개한테 물려 다치거나 죽는 사건이 끊이질 않고 있다. 지난달에는 법원이 남부 케랄라주(州) 정부에 "떠돌이 개에 물려 사망한 아내의 남편에게 4만루피(70만원)를 지급하라"고 판결하기도 했다.
인도는 세계 광견병 사망자의 35%를 차지하는 광견병 사망 1위 국가다. 해마다 2만명이 광견병에 걸려 죽는 것으로 추정된다. 경제 중심지 뭄바이시는 최근 "지난 20년간 개의 공격으로 사망한 주민 434명이 같은 기간 발생한 폭탄 테러 사망자 수(422명)보다 더 많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인도에서는 힌두교 신화에 등장하는 소를 비롯해 개·코끼리 등을 신성시하고 있다. 지난 2001년에는 개를 사냥하거나 강제로 안락사시키는 행위가 금지됐다.
각 지방정부는 떠돌이 개 수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대책을 강구하고 있지만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일부 주는 개를 식용하는 인도 동북부나 중국에 떠돌이 개들을 보내는 '강제 이주책'을 검토했지만 논란이 많아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동물보호단체들은 "주 정부로부터 뒷돈을 받고 고용된 사냥꾼과 시민이 독약·총·전기충격기로 개를 사냥하고 있다"며 정부를 비난하고 있다.
일간 타임스오브인디아는 "대법원이 지난 3월 정부에 광견병 백신 보급과 떠돌이 개 중성화 수술 조치를 권고했지만, 예산 문제로 실패할 확률이 높다"고 보도했다. 중성화 수술에는 한 마리당 1000루피(1만7550원)의 비용이 드는데, 주 정부의 예산이 한정돼 있어 주별로 수십~수백만 마리에 이르는 떠돌이 개 수술 비용 마련이 어렵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