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인류의 진화 과정에서 물질은 문명과 함께 진보해왔다. 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 등 특정 시대를 지칭하는 용어에 물질의 이름이 들어가는 걸 보면 물질과 인류의 문명사가 맞물려 있음을 알 수 있다.
1967년부터 2008년까지 미국 코넬대 재료공학과 교수로 재직했던 스티븐 L. 사스 박사는 돌, 점토, 구리, 청동과 같이 고대에 발견한 물질부터 시멘트, 실리콘, 폴리머 등 현대에 발견한 물질까지 문명과 물질이 진화해온 방식을 두루 살폈다. '문명과 물질'은 2019년 타계한 그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펴낸 연구서다.
역사와 과학이 쌍두마차처럼 내달려온 물질의 연대기라고 할 수 있는 이 책은 '물질이 인류의 문명을 어떻게 형성해왔나'라는 질문에 해답을 제공한다. 예컨대 철의 발견은 가마 온도를 높이는 기술을 개발케 했고, 가마 온도가 높아지자 유리를 다루는 기술도 함께 개발됐다. 희귀품이던 유리는 일상용품이 돼 사람의 생활 공간에 창문을 선사했다.
고대 그리스는 아테네의 은광 덕분에 페르시아가 에게해로 진출하는 걸 막을 수 있었다. 그리고 로마의 알렉산더 대왕은 트리키아에서 추출한 금으로 전대미문의 제국을 건설했다. 중국이 이역만리 먼 길로 무역과 탐험에 나설 수 있었던 것도 종이와 나침반, 화약 등의 새로운 물질 덕분이었다.
16세기 남아메리카는 막대한 양의 금과 은을 차지하려던 스페인의 정복 활동에 최적지였다. 근대의 영국은 부족한 물질을 산업혁명으로 극복하며 강대국 대열의 선두로 나섰고, 현대의 미국은 물질 혁신의 중심지이자 실리콘, 광섬유 기반의 컴퓨터와 정보혁명의 본거지로 거듭나며 세계 최강국 자리를 지키고 있다.
저자는 이와 관련해 "물질이 역사의 흐름을 바꾼다. 역사는 인류가 발명 혹은 발견해 사용·변용·남용한 모든 물질을 합성하듯이 버무려낸 것이며, 각 물질은 저마다 자신의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다"고 말한다.
스티븐 L. 사스 저/ 배상규 역/ 위즈덤하우스/ 360쪽/ 1만9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