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관련 시장이 커지면서 엄청난 가격에 팔리는 반려동물들에게 관심이 쏠리고 있는 것이다. 즉 반려동물 시장에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일명 '펫테크'란 신조어가 생겼다.
실제 중국에선 2011년 한 부호가 일명 ‘사자개’로 알려진 티베탄 마스티프를 17억원에 구입했다. 생김새가 사자처럼 독특한데다 늑대와 싸워도 지지 않는 용맹성, 그리고 평생 단 한 주인만 섬기는 충성심까지 갖춘 티베탄 마스티프는 현재 중국 부유층 사이에서 사랑 받고있다.
일본에서는 1999년 길이가 80㎜에 달하는 왕사슴벌레가 1억원에 팔리기도 했다. 본래 곤충 애호가들 사이에서 잘 팔리는 왕사슴벌레지만 가격이 이렇게 높아진 건 수억분의 일 확률의 희귀성 때문이다.
한편 국내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부수입을 얻을 기회가 많아지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교배비다. 경주용 말은 현역에서 은퇴 후 종마로 변신하곤 한다. 특히 스타 경주말은 꾸준히 수천만 원에서 억 단위의 교배비를 버는 경우가 종종 있다.
개의 경우 말보다는 못하지만 혈통이 훌륭할 경우 한 번에 수십만 원에서 수백만 원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도그쇼(Dog show)에서 1위(챔피언)에 오른 경우 교배비는 더 오른다. 또한 혈통이 좋은 개를 키워 분양을 하면 수천만 원의 수입을 올릴 수 있다. 이 때문에 은퇴자를 중심으로 반려견을 통해 즐거움을 얻는 동시에 수입도 얻으려는 사람들이 늘고있다. 도그쇼를 여는 한 반려견단체 관계자는 “최근 도그쇼 출품을 문의하는 애호가들이 배 이상 급증했으며 실제 도그쇼에 나오는 반려견도 40%가량 증가했다”고 전했다.
이 외에도 곤충이나 관상어, 고슴도치 등의 이색적인 반려동물 펫테크도 각광받고 있다. 국립농업과학원 등에 의하면 국내 곤충산업(애완용ㆍ수정용ㆍ방제용) 시장규모는 2015년 3,400억 원으로, 5년 사이 3배 이상 클 것으로 예상된다. 애완용으로는 사슴벌레 외에도 장수풍뎅이, 왕귀뚜라미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런가하면 해양수산부가 ‘10대 수산물 수출 전략품목’으로 선정한 관상어도 단순한 취미를 넘어 산업으로 발전될 여지가 있다. 실제 중국에선 사람의 얼굴을 닮은 인면어(人面漁)가 수천만 원에서 수억 원에 거래되기도 했다.
'사자개 왕사슴벌레 펫테크'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사자개, 저렇게 비싼줄 몰랐다","사자개 왕사슴벌레, 어마어마하게 비싸","펫테크, 처음들어봤다","펫테크, 반려동물을 두고 돈을 벌다니 너무하다는 생각도 든다","펫테크, 좋은 아이디어 같은데?"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