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 성과보고 및 컨퍼런스 개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단장 이은석)은 10월 31일(금) 인천 라마다 송도호텔에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 2025년 사업 성과보고&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단 이은석 교수팀이 주도해 진행했으며, 가천대학교 교내 관계자와 정부 및 지자체, 공동연구기관, 병원, 산업체, 외부 대학, 그리고 스마트홈 서비스 사용자 등 총 16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지능형 홈케어 기술의 발전 방향과 서비스 실증 확산을 위한 협력 방안을 함께 논의하며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또한 가천대학교 메디
최근 3년간 서울시내에서 로드킬(road kill)로 죽은 동물이 1만 마리가 훨씬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노근(새누리당)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서울에서 발생한 로드킬 건수는 1만 1천869건에 이른다. 하루 평균 10.7마리가 차에 치여 죽는 셈이다.
연도별 로드킬 건수는 2012년 4천163마리, 2013년 5천158마리, 지난해 2천548마리 등이다.
3년간 로드킬을 당한 1만 1천869마리를 종류별로 보면 고양이가 9천668마리로 전체의 81%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개가 1천422마리(12%)로 많았고, 기타 야생동물과 조류가 779마리로 7%를 차지했다.
자치구별로는 강남구에서 하루 평균 15건의 로드킬 사고를 처리해 가장 많았다. 이어 구로·금천·노원·성동구(각 12건), 강서구(8건), 광진구(5건) 등 순이었다. 은평구는 0.2건으로 가장 적었다.
로드킬을 당해 골목길이나 도로에 방치된 동물 사체는 주로 다산콜센터(☎ 120)에 신고돼 자치구 청소과의 동물사체 처리기동반이 수거한다.
수거된 사체는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지정 (의료) 폐기물로 관리돼 수집·운반업체에 위탁, 밀폐용기에 담겨 냉동 보관되다 소각 처리된다.
이노근 의원은 박원순 시장이 재선 공약이던 10대 복지정책에 동물을 포함하는 등 동물보호를 전면에 내세우면서도 정작 로드킬 문제에는 침묵한다고 비판했다.
이 의원은 "서울시에 그동안 동물 로드킬과 관련한 정책과 향후 계획에 대해 질문했지만 '무(無)계획'이란 답변만 돌아왔다"며 "서울시의 동물보호 관련 행보가 이벤트성 전시 행정에 그치지 않으려면 로드킬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