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 성과보고 및 컨퍼런스 개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단장 이은석)은 10월 31일(금) 인천 라마다 송도호텔에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 2025년 사업 성과보고&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단 이은석 교수팀이 주도해 진행했으며, 가천대학교 교내 관계자와 정부 및 지자체, 공동연구기관, 병원, 산업체, 외부 대학, 그리고 스마트홈 서비스 사용자 등 총 16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지능형 홈케어 기술의 발전 방향과 서비스 실증 확산을 위한 협력 방안을 함께 논의하며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또한 가천대학교 메디
![]() |
||
흰개미는 목재를 뚫고 내부의 연한 조직을 갉아 먹어 건물을 훼손시키고, 심한 경우 붕괴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우리나라 문화재의 경우 목조건축물이 많아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는 만큼 각별한 관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나무 내부에 서식하는 특성 때문에 육안으로 확인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2007년부터 문화재청은 삼성탐지견센터와 업무협약을 맺고 흰개미탐지 활동을 진행해왔다. 탐지견은 인간보다 최대 100만배 뛰어난 후각을 이용해 흰개미의 서식지와 피해지를 탐지할 수 있다. 현재 국내의 흰개미탐지견은 모두 잉글리시 스프링거스파니엘 종으로 다른 품종보다 후각에 민감하다.
흰개미탐지견들은 2007년부터 2010년 주요 목조문화재 및 긴급 조사대상 목조문화재 조사에 참여했다. 2011년부터 2015년까지 5개년 계획으로 진행된 전국 주요 목조문화재 대상 '목조문화재 흰개미 피해 전수조사'에도 투입됐다.
권역별로 연간 약 70건, 중요 목조문화재 321건(국보 24건, 보물 135건, 중요민속문화재 162건)에 대해서 흰개미탐지 활동을 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9년 6월에는 문화재지킴이 활동우수사례로 문화재청장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이날 보배와 보람은 처음 활동을 시작했던 경복궁 근정전 회랑에서의 은퇴식을 마지막으로 일반 가정에 입양될 예정이다. 한편2세대 흰개미탐지견은 3두로 확대 운영될 예정이며 이 중 옥소(4)와 올리비아(4)가 행사에 참여해 탐지 시범을 선보였다.
최찬교 에스원 상무는 "우리 탐지견들이 문화 유산 지킴이로 활동을 해주어서 자랑스럽고, 오늘 명예로운 은퇴식을 마련해주신 문화재청에 감사드린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