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 성과보고 및 컨퍼런스 개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단장 이은석)은 10월 31일(금) 인천 라마다 송도호텔에서 ‘가천대학교 기반구축사업단 2025년 사업 성과보고&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가천대학교 지능형 홈케어 기반구축사업단 이은석 교수팀이 주도해 진행했으며, 가천대학교 교내 관계자와 정부 및 지자체, 공동연구기관, 병원, 산업체, 외부 대학, 그리고 스마트홈 서비스 사용자 등 총 16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지능형 홈케어 기술의 발전 방향과 서비스 실증 확산을 위한 협력 방안을 함께 논의하며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또한 가천대학교 메디
![]() |
||
이상표·이상민(가천대 길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양민석(서울대 보라매병원 알레르기내과) 교수 공동 연구팀은 반려동물 박람회에 참가한 537명의 반려동물 소유자를 대상으로 반려동물에 의한 알레르기 역학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 반려동물에 의한 알레르기 경험률은 반려견 25%, 반려묘 35%로 각각 집계됐다. 경험한 알레르기 증상은 콧물, 재채기, 피부가려움, 기침, 호흡곤란 등이 많았다.
특히 반려동물과 접촉 시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평소 알레르기비염, 알레르기결막염, 아토피피부염, 두드러기, 식품알레르기와 같은 알레르기 질환을 많이 가진 것으로 분석됐다.
증상별로는 반려동물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의 74∼80%가 재채기, 콧물, 코막힘, 코가려움 등의 비염 증상을 갖고 있었다. 또 눈가려움, 발적, 눈물 등 결막염 증상이 65∼73%로 뒤를 이었다. 피부가려움, 두드러기, 발적 등의 피부 증상을 가진 경우도 33∼55%에 달했다.
반려견 중에서는 치와와를 키우는 사람의 알레르기 증상 경험률이 40%로 가장 높았다. 이어 요크셔테리어(38.3%), 말티즈(30.1%), 푸들(22.8%), 스피츠(20.8%), 시추(17.6%) 등의 순이었다.
고양이는 페르시안(47.8%), 터키 앙고라(41.7%), 코리안 숏헤어(38.3%), 스코티시 폴드(26.7%) 순으로 알레르기 경험률이 높았다.
하지만 반려견과 반려묘에 의한 알레르기 증상으로 병원을 방문한 경우는 각각 35.3%와 24.4%에 그쳤으며, 증상 완화를 위해 약을 처방받는 경우도 각각 19.6%와 11%에 불과했다.
연구팀은 "반려동물 알레르기는 기존 알레르기질환이 있거나 알레르기의 유전적인 소인이 있는 사람에게 더 잘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런 경우에는 반려동물을 키우지 않는 게 최선이지만, 만약 키우게 된다면 털 빠짐이나 사람과의 친밀도, 기타 행동 습성 등을 고려해 알레르기를 좀 더 덜 발생시킬 것으로 예상되는 품종을 선택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이상표 교수는 "반려동물에 의한 알레르기 위험을 줄이려면 이불세탁, 집안 청소, 털깎기, 털제거 등 실내 환경 관리에 신경써야 한다"면서 "반려동물 접촉 후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병원을 찾아 적절할 약물치료를 받고, 심할 때는 적극적인 알레르기 면역요법을 고려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인 '알레르기천식면역연구'(Allergy Asthma Immunology Research) 1월호에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