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캣맘이 숨진 사건을 계기로 ‘길 고양이’에 대한 사회적 갈등이 표면화 되고 있다.
인터넷상에서 ‘캣맘’이라는 단어는 이미 사회적 갈등을 부르는 하나의 키워드로 자리 잡았다. “우리 아파트 단지에서 설치는 캣맘을 쫓아내고 싶다”는 한 네티즌의 글에 “참치캔에 기름 버리고 (차량용) 부동액을 넣어라”는 극단적인 댓글이 예사롭게 올라온다. 이에 대해 또 다른 네티즌은 “고양이도 하나의 생명체이며, 내가 불편하다고 상대방을 죽인다면 인간이 아닌 짐승의 마음”이라며 상대방에 대한 공격에 나서고 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동질적이지 않은 사회 구성원을 어떻게 융화할 것인지에 대한 진지한 사회적 논의를 펼쳐야 할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
논란의 발단이 된 캣맘사망사건이 일어난 건 지난 8일 오후 4시35분쯤. 경기 용인 수지구의 한 18층짜리 아파트 앞 화단에서 박모(55ㆍ여)씨와 또 다른 박모(29)씨가 고양이 집을 만들던 중 상층부에서 떨어진 벽돌 1개에 맞아 50대 박씨가 숨졌고 20대 박씨는 다쳐 병원치료를 받고 있다.
숨진 박씨는 길고양이에게 먹이를 주고 돌보는 이른바 ‘캣맘’으로 조사됐다. 또 다른 박씨는 같은 아파트에 살며 박씨가 고양이 밥을 주는 것을 도와주던 사이였다.
박씨는 올 8월 초부터 어미 고양이 한 마리, 새끼 고양이 세 마리 등 4~5마리의 고양이를 돌봐왔다고 한다. 당시에는 감기에 걸린 새끼 고양이 한 마리에게 약을 먹이고 집을 만들어주려다 변을 당했다.
경찰은 박씨를 죽음으로 내몬 벽돌이 자연 낙하했을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보고 있다. 사건현장과 아파트 벽면과의 거리가 7m에 달하는데다 낙하지점 나뭇가지가 부러져 있는 형태와 각도 등에 미뤄 누군가가 인위적으로 벽돌을 던졌다는 것이다.
하지만 벽돌을 가지고 올라갔거나 투척하는 장면이 담긴 아파트 내 폐쇄회로(CC)TV 영상은 없다. 벽돌에 대한 유전자(DNA) 분석에서도 피해자 2명의 것만 나왔다.
경찰은 동물을 싫어하거나 몰려든 길고양이의 냄새와 위생, 미관문제 등에 불만을 품은 고의 범죄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신고보상금 500만원을 걸고 동물ㆍ캣맘에 적개심이 있거나 숨진 박씨와 길고양이 문제로 다툰 전력이 있는 주민에 대한 제보를 받고 있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