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민 95% "동물원 운영하려면 정부 허가 받아야"
  • 이소영 기자
  • 등록 2015-04-03 07:17:51
기사수정

동물원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허가가 필요하다고 국민 10명 중 9명이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동물자유연대와 새정치민주연합 장하나 의원은 2일 동물원법 제정을 위한 국회토론회에서 이같은 내용의 국민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는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한은경 교수팀이 지난해 12월29일부터 올해 1월7일까지 10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조사 결과 동물원 허가제에 대해 95.1%가 찬성했다. 또 관람목적의 인위적 훈련을 금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58.9%로 나타났다.

현재 동물원 설립은 허가제가 아니라 신고제여서 동물원을 설립하는 기준이나 관리규정이 제대로 마련돼 있지 않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동물원의 적정한 사육환경 조성 등 관리와 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법률로 규정하는 '동물원법 제정안'은 2013년 발의됐다. 그러나 다른 사안에 밀려 국회에서 통과되지 않았으며 이달 국회 심사를 앞두고 있다.

이날 토론회에서 발제자로 참석한 이항 서울대 수의과대 교수는 "동물원의 역할은 종 보전 뿐 아니라 종과 개체군이 살아갈 생태계를 포함하는 '생물다양성'을 보전하는 것"이라며 "한국이 동물학대국이 아닌 생명을 존중하는 국가라는 국제적 인식 전환을 위해서라도 동물원 개선책을 동물원법이 담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동물자유연대 조희경 대표는 "야생동물을 인위적인 환경에서 사육하는 동물원에서는 본질적으로 동물의 고통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동물이 최대한 고유의 습성을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춘 동물원만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장하나 의원은 "동물원법을 발의 한 지 1년 7개월이 지났는데 이번 연구보고서를 통해 동물원법을 발의 했을 때보다 국민들의 인식이 많이 달라졌음을 알 수 있었다"며 "동물원법이 조속히 통과돼 동물원 등 설립기준을 마련하고 동물원의 동물들과 사육사, 관람객 모두에게 안전한 동물원을 만들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0
마이펫뉴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