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농작물 등에 피해를 줘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된 노루의 개체 수 조절에 나섰다.
제주도는 농경지와 오름 등 노루가 집단으로 자주 나타나는 지역에 무인 자동 포획시스템을 설치할 계획이라고 18일 밝혔다.
제주도는 농작물 등에 피해를 줘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된 노루를 생포하기 위해 11월 말까지 11억5천만원을 들여 IT기술을 활용한 노루 자동 포획시스템을 구축기로 하고 19일 착수 보고회를 연다.
포획시스템은 노루가 채소 등 유인용 먹잇감을 찾아 그물로 된 유도펜스를 따라 가두리로 들어오면 감지센서와 적외선 카메라가 이를 감지해 자동으로 문을 닫아 가두는 방식이다.
도청에 설치된 시스템 통제실은 가두리에 들어오는 노루의 상태와 개체 수를 실시간으로 확인, 적절한 조치를 하게 된다.
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펜스의 길이는 500m, 높이는 2m이며 유도펜스 간격은 5m다.
제주도는 또 8월 말까지 농작물 피해가 심한 지역과 오름, 곶자왈 주변을 중심으로 포획시스템 설치 지역 15개소를 선정, 12월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생포한 노루는 제주시 절물휴양림 인근에 있는 노루생태공원으로 이주시킨다.
이 시스템이 성공을 거두면 노루의 개체 수 조절에 도움을 줄 것으로 제주도는 기대했다. 2011년 제주도 전역에서 서식하는 야생 노루의 개체 수는 2만570마리로, 적정 수준인 3,000마리보다 6.9배나 많았다.
제주도는 노루 피해가 가장 심한 제주시 구좌읍, 서귀포시 안덕면 등 2개 지역을 대상으로 야생생물관리협회 제주도지부에 의뢰해 지난 4∼6월 노루 생포작전을 벌여 마취총으로 28마리를 생포했으나 이 가운데 16마리는 숨졌고 나머지 12마리만 이주시키는 데 성공했다.
제주도의회는 노루 피해가 늘자 지난 1일부터 3년간 노루를 유해 야생동물에 포함해 총기류, 올무 등으로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제주특별자치도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 조례'를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