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애완동물은 언제부터 왜 키웠을까?
- 역사적으로 애완동물 기르기는 주로 상류층에서 이뤄진 호사스런 취미였습니다.
고대 아테네 및 로마 귀족들은 사치를 과시하는 수단으로 애완동물들을 키웠습니다.
로마에서 부유한 이방인들이 개나 ...
- 2013-10-07
-
- 버려야 될 것 그리고 달린다 2
- 2013-10-06
-
- 버려야 될 것 그리고 달린다 1
- 2013-10-01
-
- 반려동물 수제 식품 전문업체 ‘생유푸드’
- 반려동물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반려동물을 위한 좋은 먹거리를 찾는 비율도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정작 사람의 한 끼 밥상과도 같은 품질 좋은 반려동물 식품은 그리 흔하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이에 ...
- 2013-09-30
-
- 히틀러,간디 모두 동물 애호가 ... 그릇된 것이나 참된 사람 모두 수용하는 동물
- 프랑스 실존주의 철학자 사르트르는 말했습니다. “아이와 개를 지나치게 좋아하는 것은 어른을 좋아하지 않는 증거일 수 있다.”
쇼펜하우어는 사르트르의 그런 말에 딱 어울리는 경우였습니다. ...
- 2013-09-01
-
- 반려동물과 동반여행시 유의사항
- 이 은주 변호사
가족들과 함께 시원한 휴가를 보내셨나요. 제가 아는 금슬 좋은 부부가 계십니다. 그런데 그 분들은 아직 두 분이 함께...
- 2013-08-25
- “나는 여자보다 개가 더 좋다” ‧ ‧ ‧ 쇼펜하우어
-
“나는 여자보다 개가 더 좋다.”
독일 철학자 쇼펜하우어의 말...
- 2013-08-25
-
- 정약용은 개고기 애호가였다
- 조선시대 최고의 실학자이자 개혁가인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 1762~1836년)은 개고기 애호가였습니다.
그 사실은 다산이 흑산도에 유배된 형 약전(丁若銓, 1758~1816)에게 보낸 편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013-08-19
-
- 유기견 돌보기 봉사와 정신건강의 상관성
- 김옥진(D.V.M., Ph.D.)
원광대학교 애완동식물학과 교수
...
- 2013-08-14
-
- 중국에서조차 비천한 음식으로 전락한 개고기
- 중국의 개고기 식습관은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시대에 접어들어서 커다란 변화가 일어납니다. 위진남북조시대는(220~589) 중국 역사상 후한(後漢)의 멸망부터 수(隋)의 재통일까지를 말합니다.
육조시...
- 2013-08-12
-
- 차라리 '졸속'이 낫다
- 졸속(拙速)을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어설프고 빠름. 또는 그런 태도`라고 규정돼 있다. 졸속과 짝을 이루어 어울리는 문구는 졸속 행정, 졸속 심의, 졸속 수사 등이며 모두 부정적인 의미이다. 즉 졸속은 ...
- 2013-08-08
-
- 중국은 언제부터 개고기를 먹었을까
- 중국에는 옛날부터 개고기를 먹는 관습이 있었다.
신석기 시대의 유적에는 개뼈가 많이 발견되고 있는데, 이것은 중원, 즉 황허 강의 중류 유역뿐만 아니라 황허 강 상류에서 양쯔 강 중하류 지역에 이르...
- 2013-08-05
-
- 노인의 사회성 증가에 영향
- 김옥진(D.V.M., Ph.D.)
원광대학교 애완동식물학과 교수
...
- 2013-08-05
-
- 인식표 없으면 자칫 유기견으로 오해
- 이은주 변호사
인터넷 뉴스에서 강릉에 ‘애견 해변’을 개장한다는 소식을 접한 지 불과 며칠 지나지 않아, 9시 뉴스에도 ...
- 2013-08-05
-
- 베지테리언의 유래
- 베지테리언(vegetarian)이라는 단어가 야채(vegertable)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활기찬’이라는 뜻의 라틴어 베게투스(vegetus)에서 파생되었다는 것은 지속적으로 논란이 됐다. 베지테리언이라는 단어가 ...
- 2013-07-29
-
- 어린이에게 더 좋은 반려동물
- 김옥진(D.V.M., Ph.D.)
원광대학교 애완동식물학과 교수
...
- 2013-07-29
-
- 금연, 하긴해야 하지만
- 15일 서울 을지로3가의 한 건물 뒤편 소공원. 아침 회의 시간이 끝나는 오전 10시가 되자 흡연자들이 내뿜는 연기는 공원을가득 채웠다. 점심시간 장교동 한 빌딩 앞 공터. 인근에서 근무하는 직장인들이 우...
- 2013-07-25
-
- 보호자 바뀔 경우, 변경 신고해야
-
...
- 2013-07-24
-
- 왜 육식만 금기가 존재할까...
- 인류는 우리 조상인 호모 에렉투스가 180만년 전에 불을 알고부터 익힌 고기를 즐겼다고 합니다. 하지만 오랜 세월에 걸친 식생활 습관을 보면, 식물성 음식에 대한 금기는 거의 볼 수 없습니다. 오직 세계 ...
- 2013-07-22
-
- 반려동물 사고시 목줄 했을 때와 안했을 때는
-
오홍근(D.V.M., Ph D)
...
- 2013-07-22
- 최신뉴스
-
-
반려동물 열사병, 몇 분이면 위험
-
경기도, 반려동물과 즐길 수 있는 체험형 교육 프로그램 운영
-
성북구, 2025 사진 공모전 개최…“당신의 인생샷, 성북에 담아주세요”
-
성북구 자율방재단, 수해 입은 예산군에 구슬땀…“연대의 힘 믿는다”
-
은평구, 반려동물 전문가 양성…“2기 교육생 9월 14일까지 모집”
-
양천구, 청년이 아이를 가르친다…‘행정인턴 학습멘토’ 호응
-
미국, 한국 투자 조건으로 상호관세 15% 인하 합의
-
권익위, 반려동물 '민원주의보'…月평균 작년 901건→올해 1천741건 1.93배↑
-
구레군,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속 지급 총력
-
광주소방 "에어컨, 멀티콘센트에 꽂지마세요"